그 외

치킨 가격 인상에 대하여

생각자료실 2025. 4. 25. 15:37
반응형

최근 몇 년간 치킨 프랜차이즈 업계를 중심으로 가격 인상이 꾸준히 발생하고 있으며, 2025년에도 이러한 추세가 이어지고 있다.

주요 인상 요인

  • 원자재 가격 상승: 닭고기 가격 자체는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, 밀가루, 기름 등 다른 재료비 상승이 가격 인상 압력으로 작용하고 있다.
  • 인건비 및 임대료 상승: 가맹점 운영에 필요한 인건비와 임대료 상승도 치킨 가격 인상의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.
  • 배달 앱 수수료 부담: 배달앱 이용 증가에 따른 수수료 부담 역시 가격 인상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.
  • 고환율: 원/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해 수입 원자재 가격이 상승하면서, 식품업체들의 원가 부담이 커지고 있다.

가격 인상 현황

  • 지코바치킨: 2025년 4월 7일부터 모든 메뉴 가격을 2,500원씩 인상했다. 이는 2024년 3월 가격 인상 이후 1년 1개월 만이다.
  • 자담치킨: 배달 앱 이용 시 가격을 2,000원 인상하는 이중가격제를 도입했다.
  • 맘스터치, 굽네치킨: 일부 가맹점에서 배달 메뉴 가격을 인상했다.

이중가격제 논란

배달앱을 통해 주문 시 매장 가격보다 높은 가격을 적용하는 이중가격제(배달가격제)가 확산되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. 프랜차이즈 업체들은 배달 앱 수수료 부담을 이유로 들지만, 소비자들은 사실상 가격 인상으로 받아들이고 있다.

소비자 반응 및 업계 동향

  • 소비자 부담 증가: 잇따른 치킨 가격 인상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으며, 외식 자체를 꺼리는 경향도 나타나고 있다.
  • 대체재 선호: 상대적으로 저렴한 마트 치킨이나 냉동 치킨 등 대체재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.
  • 프랜차이즈 가맹점 감소: 치킨 가격 상승과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인해 치킨 전문점 수가 감소하는 추세다.
  • 정부의 노력: 농림축산식품부는 외식업계와 간담회를 통해 물가 안정 협조를 요청하고, 식품업체의 원가 부담을 줄이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.
  • 수익성 악화 우려: 가격 인상에도 불구하고 소비 심리 위축으로 인해 가맹점 수익성이 악화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.

추가적인 경제적 요인

  •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: 트럼프 정부의 새로운 관세 정책으로 인해 식품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.

참고: 치킨 프랜차이즈 관련 통계 (2023년)

지표 내용
가맹점 평균 매출액 3억 5천만원 (전체 소상공인 평균의 1.75배)
가맹점 수 29,711개 (외식업 중 한식에 이어 2위)
주요 브랜드 BHC, 교촌치킨 등
투자금 회수 기간 (성공 업체) 평균 2년 7개월

소비자들을 위한 팁

  • 할인 정보 확인: 각 브랜드의 할인 정보를 확인하고, 멤버십 혜택 등을 활용하여 가격 부담을 줄일 수 있다.
  • 포장 할인 이용: 배달 대신 포장을 이용하면 배달료를 절약할 수 있다.
  • 가성비 치킨: 대형마트나 저가 치킨 프랜차이즈를 이용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.
  • 자체 앱 이용: 프랜차이즈 자체 앱을 이용하면 배달 앱 수수료를 절약할 수 있다.
반응형